전체 글에 해당하는 글 432

[환경공학-수질] 부영양화, 적조와 녹조

728x90
728x170


1. 적조와 녹조란?


적조현상은 플랑크톤의 과다한 성장과 폐사과정에서 부패, 분해, 퇴적되는 과정에서 물이 붉은 빛을 띠게 되는데 이것을 적조현상이라고 부른다. 녹조는 녹색빛을 띄는 남조류와 녹조류와 같은 조류의 과다 성장으로 인해서 물속으로 흡수되는 태양빛의 양을 줄이면서 수생생물이 폐사하는 현상인데 이렇게 폐사한 조류들이 녹색을 띄기 때문에 녹조현상 이라고 불린다.


2. 부영양화

 

평소에 자연상태에서 동물과 식물이 생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영양분(질소와 인)이 균형 잡힌 상태로 있다. 그렇지만 최근에 산업화와 공업화의 의한 하수와 오폐수, 음식물쓰레기 폐기, 질소비료 등과 같은 많은 유기물질들 즉, 영양염류가 수중으로 방류되고 적당량의 염분과 태양빛이 쬐이면 녹조류와 남조류의 과다한 성장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부영양화라고 한다. , 간단히 말하면 인과 질소과 과다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부영양화의 영향으로는 플랑크톤 개체수의 증가, 부유물질의 증가, 수생식물의 성장등이 발생하며 악취, 착색을 일으키기도 한다.

 

3. 적조의 피해



적조의 정의에 따라 플랑크톤의 집단 폐사가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 집단 폐사한 플랑크톤에 의해 물속 에 있는 조류들은 더 많은 산소를 흡수하기 위해 물속의 산소를 과소비하며 물속에 존재하는 산소를 좋아하는(호기성) 세균들이 플랑크톤의 시체를 분해하면서 급격히 물의 산소의 양 (DO)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산소가 점차 사라지면서 혐기성 세균(산소를 싫어하는 세균)에 의해 분해가 되면서 굉장한 악취가 난다



이때 중요한 것은 플랑크톤의 시체의 특이성과 DO(용존산소량)의 감소이다. DO가 감소하게 되면 수생생물들은 산소를 얻기 위해 수면으로 나오게 된다. 마치 이것은 어항에 물이 탁해질 때 금붕어가 수면에서 뻐끔거리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렇지만 수생 생물이 노력하는 것에 비해서 수면에서 흡수할 수 있는 산소의 양은 적고 물속에서는 무산소 상태로 점점 변해가기 때문에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다.


어떤 플랑크톤은 어류의 아가미에 접촉하여 여류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데 대표적인 조류생물인 코클로디움(Cochlodinum)이다. 이 플랑크톤은 특히, 해안에서 일어나는 물고기 폐사의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적조현상으로 인해서 수생생물의 집단폐사 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4. 적조의 해결방법



적조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보통 응집을 통한 물리적 방법. 약품을 넣어주는 화학적 방법, 플랑크톤의 천적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이 있다. 또한 어항에 산소를 주입하여 주듯 DO(용존산소량)을 높히기 위해 산소를 인위적으로 넣어주는(폭기)하는 방법도 있다(주로 양식장).


대중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황토 살포이다. 사실 황토를 살포하는 방법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는 뜨거운 감자이다. 물론 국립수산과학원에 의하면 적조방제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미세하게 가공된 황토를 뿌리면 흡착이 일어나고 약한 전기를 띄게 되는데 이때 얇은 적조층이 바다 속으로 가라앉게 된다.또한 황토에 포함된 금속성인 알류미늄은 플랑크톤의 세포를 파괴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적조의 예방적인 근본적인 접근은 바다로 방류되는 영양염류를 줄이는 것이다. 이때 하수처리과정의 정비를 개선하거나 양식장 및 해양환경의 철저한 관리로 자가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양식장에서 폐기되는 물질의 지속적인 관리 및 시설개선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